2025 재보궐선거 투표 총정리! 일정부터 방법까지 한눈에
2025년 4월 2일, 전국 23개 지역에서 재보궐선거가 실시됩니다.
이 선거는 단순히 빈자리를 채우는 선거가 아니라, 현 정부의 중간 평가이자 우리 지역의 중요한 변화를 결정짓는 선거입니다.
특히 사전투표는 바쁜 일상 속에서도 쉽게 투표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죠.
📅 2025 재보궐선거 일정
- 사전투표일: 2025년 3월 28일(금) ~ 29일(토)
- 본투표일: 2025년 4월 2일(수)
- 투표시간: 오전 6시 ~ 오후 6시 (일부 지역 본투표는 오후 8시까지)
- 거소투표 신청 기간: 3월 11일 ~ 15일
❗ 재보궐선거는 공휴일이 아니기 때문에, 사전투표 활용이 매우 중요해요.
🔍 주요 선거 지역
2025년 재보궐선거는 총 23개 지역에서 진행됩니다.
- 교육감 선거: 서울시, 부산시 등
- 기초단체장: 서울 구로구, 충남 아산시, 전남 담양군 등
- 광역·기초의원: 경기 성남, 전남 고흥 등
특히 서울시 교육감 선거는 우리 아이들의 미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선거입니다.
🧭 사전투표 참여 방법
사전투표는 전국 어디서나 가능합니다! 내 주민등록상 주소지와 관계없이 가까운 사전투표소에서 참여할 수 있어요.
단, 관내/관외 구분에 따라 절차가 다르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 준비물
-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모바일 신분증 등 본인 확인 가능한 신분증
- 관외 유권자는 회송용 봉투에 투표지를 넣는 절차 있음
📌 예: 출장 중이라면 관외 사전투표 가능!
📍 투표소 찾는 법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투표소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요.
- 지역 입력 → 가까운 사전투표소 조회
- 본투표: 주민등록지 기준 지정된 투표소에서만 가능
서울, 부산 등 대도시는 사전투표소가 많으므로 사전 확인 필수입니다!
✅ 결론: 꼭 사전투표로 한 표 행사하세요!
이번 재보궐선거는 우리의 삶과 직결된 정책을 결정짓는 중요한 선거입니다.
특히 사전투표는 바쁜 현대인에게 매우 유용한 제도죠.
소중한 권리를 행사하는 방법, 이제는 어렵지 않아요!
지금 바로 사전투표소 위치를 확인하고, 신분증 챙겨서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해보세요.
🙋 Q&A 자주 묻는 질문
Q1. 사전투표는 어디서든 가능한가요?
A. 네! 전국 어느 사전투표소에서나 가능하며, 관내/관외 구분만 잘 확인하면 됩니다.
Q2. 신분증 없이 투표 가능한가요?
A. 아니요.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본인 확인 가능한 신분증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Q3. 거소투표는 어떻게 하나요?
A. 3월 11일~15일 사이에 거소투표 신청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병원 입원, 장애 등으로 외출이 어려운 경우 해당됩니다.
Q4. 본투표는 거주지가 아닌 곳에서도 가능한가요?
A. 아니요. 본투표는 지정된 투표소에서만 가능하므로 반드시 주소지 기준으로 확인하세요.
Q5. 안내문을 못 받았어요. 어떻게 확인하나요?
A.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또는 1390 전화 문의로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