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 윤석열 재구속 촉구 10만 서명 운동
군인권센터는 이번 ‘윤석열 전 대통령 재구속 촉구 서명 운동’을 단순한 항의 표현이 아닌, 시민 참여에 기반한 공적 의견 표출의 장으로 기획했습니다.
특히 최근 논란이 된 구속 취소 결정과 이후의 정치적 행보, 그리고 재판 과정에서 드러난 검찰의 소극적 태도 등에 대해 시민의 목소리를 사법부에 전달하겠다는 분명한 목표를 갖고 추진되고 있습니다.
🔹 왜 서명을 시작하게 되었는가?
- 윤 전 대통령의 내란 혐의와 관련한 첫 공판이 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구속 상태가 아닌 채로 재판이 진행된 점에 대해 시민사회의 우려가 커졌습니다.
- 지귀연 재판부의 구속기간 계산 방식이 일반적이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되며, 법적 판단의 공정성과 일관성에 대한 질문이 이어졌습니다.
- 검찰 측은 첫 공판에서 이전 재판에서 사용된 기존 PPT를 그대로 사용하는 등 미온적인 공소 유지로 비판을 받았고, 이에 대한 시민 감시와 대응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 윤 전 대통령이 불구속 상태에서 정치적 활동을 계속하는 모습에 대해 “사법 처분의 실효성이 있느냐”는 사회적 비판이 일면서, 제도 밖에서 국민의 의사를 반영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서명 운동이 기획되었습니다.
🔹 서명 운동의 구체적 목표
- 서명 목표: 총 10만 명의 시민 서명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는 단기간 내 모으기에는 결코 적지 않은 수치입니다. 이는 단순한 숫자 이상의 상징적 의미를 갖습니다. “국민의 의지”를 수치로 가시화하는 노력인 것이죠.
- 기간: 2025년 4월 14일부터 21일까지 단 1주일. 짧지만 강력한 기간 설정으로, 시의성과 긴박감을 부여하고자 했습니다. 공판 초기 단계에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속도전을 택한 것입니다.
- 제출 대상: 수신인은 서울중앙지법 지귀연 재판부입니다. 이는 구속 취소 결정을 내렸던 바로 그 재판부로, 서명이 단순한 여론 전달을 넘어 ‘결정 권한자’에게 직접 보내지는 탄원이라는 점에서 명확한 목적성을 갖고 있습니다.
- 참여 방식: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손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참여자가 자신의 의견을 담은 탄원서 작성도 가능하게 했습니다. 군인권센터는 디지털 서명 방식 외에도 오프라인 참여 채널도 열어두고 있습니다.
군인권센터는 이 서명운동을 통해 “국민이 사법적 결정 과정에 간접적으로라도 참여할 수 있는 창구를 만들어야 한다”는 소신을 밝히고 있습니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법의 판단은 절대적인 권한이지만, 그 과정에서 국민의 감정과 정의감 또한 외면되어선 안 된다는 철학이 서명 운동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또한, 단지 윤석열 전 대통령 개인에 대한 재구속 여부를 넘어, 향후 비슷한 사안에서 사법부가 어떻게 국민 여론과 법리를 조화롭게 해석할 것인지에 대한 사회적 기준을 만드는 시도이기도 합니다.
👉 이런 의미에서 볼 때, 이번 서명운동은 하나의 사건에 대한 반응을 넘어, 사법감시와 참여민주주의의 실천 사례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