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공공근로 신청 자격 일정 방법 총정리
2025 공공근로 신청 자격 일정 방법 총정리
공공근로사업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저소득 실업자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시적인 일자리를 제공해 생계 안정을 돕는 사업입니다.
📌 지자체 공고 확인하러 가기📌 공공근로사업 개요
- 정의: 취약계층에 한시적 일자리 제공
- 주체: 시/군/구 지방자치단체
- 기간: 연중 3~4단계, 각 3~4개월
- 업무: 정보화, 환경정화, 행정보조 등 내근/외근 포함
✅ 신청 자격
- 연령: 만 18세 이상 (청년·노인은 별도 기준)
- 소득: 기준 중위소득 60~70% 이하
- 재산: 2억~4억 원 이하 (지역별 상이)
- 거주지: 해당 지자체 거주
- 기타: 실업자 및 구직 등록자
❌ 신청 불가 대상
- 1세대 2인 이상 참여자 (청년 제외)
- 최근 3년 내 2년 이상 참여자
- 공무원 배우자 및 자녀
- 실업급여 수급자 등
📝 신청 방법
- 구직 등록: 고용센터 또는 취업센터
- 방문 신청: 주민센터 방문, 서류 제출
- 온라인 신청: 지자체별 사이트
📂 제출 서류
- 참여 신청서
- 개인정보 동의서
- 건강보험증, 신분증
- 구직등록 확인서
🧐 선발 절차
- 서류 심사 → 면접(선택) → 고득점 순 선발
- 탈락자 대기자 관리
💼 근무 조건 및 급여
- 근무시간: 65세 미만 주 25~40시간, 65세 이상 주 15~25시간
- 시급: 2025년 최저임금(10,030원) + 주휴/월차수당
- 기타: 교통비·간식비 지급, 4대보험 가입
📍 추가 정보
- 2025년 각 지자체별 채용공고 확인 필수
- 문의: 주소지 주민센터 또는 시/군/구청